KPI가 패악을 부렸던 1 나쁜 사례는 정말 많지만, 공정을 표방하는 조직에는 그래도 정량지표가 유용하다.
우선 점수산정이 공정하다는 전제 하에 현재의 정량지표가 부적절하다면 차차 고쳐 나가면 된다. 정량지표를 각 인적자원의 평가 혹은 서열 매기기 수단이 아니라, 조직성과의 지표로서만 다룬다면 부작용은 상당히 줄어든다. 그간 KPI의 해악이 컸다 해도 아예 정량지표가 없을 때 조직구성원은 '보스'의 의중만 살피기 마련이다. 조직의 나아갈 방향과 나아가는 방향이 명쾌하게 보이지 않는다면 배가 가라앉을 때까지 조직 내 파워게임이 극심해지기만 할 것이다. 2
조직 내 정치가 극성을 부리면 자원은 과연 어디로 쏠리고 말까? 보스가 그런 걸 원한다면 3 별 도리가 없지만, 다행스럽게도 투명성과 공정성을 주창하는 조직에서는 정량지표가 적절하게 작용한다. 변화하는 외부환경에 의해 정량지표에 대한 재평가가 필요하게 됐을 때 역시 정량지표가 판단의 출발점으로서 유용할 것이다. 4 때문에 조직 구성원들이 공감하는 정량지표의 발굴을 포기해서는 안 된다. 초반의 어색함과 불쾌감을 극복하며 시간을 두고 다듬어 나가야 한다.
***
반응형
'SEM > Business Scoreca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BSC는 이상적일까? (2) | 2009.02.03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