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3 웹도 PC 성능이 좋아야 하나보다 별로 열어보고 싶지 않은 어떤 웹 어플리케이션의 소스를 보게 됐다. javascript를 어마어마하게 많이 삽입하는 모습이 보였다. 개발자들이 어련히 알아서 잘 했겠냐만 다소 착잡한 마음은 금할 길이 없었다. 저걸 내가 일일이 열어 볼 일이 없기만을 바랄 뿐이다. 2013. 6. 18. 실시간 지식대화 서비스는 오래 갈까? 우연히 지식log(http://www.jisiklog.com/)라는 서비스를 발견했다. 방식은 우리가 흔히 아는 포탈 사이트의 지식 검색 서비스와 같지만 특이하게도 '실시간 지식대화'라는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 서비스의 특징은 채팅하듯 질문을 입력하면 지식 전문가라는 사람들이 바로 검색해서 답을 찾아 주기 때문에 1. 사용자 입장에서는 번거로움이 덜하고 결과를 (상대적으로 훨씬) 빨리 받아 좋고 2.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는 게시물 형태로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저작권 논쟁을 피한다 라는 장점이 있다. 대충 검색해 보니 지식 전문가들도 건 당 몇십 원 정도 받는 모양으로 생각 만큼 채팅 서버(까지는 아니고...) 운영비보다 덜 나가지 않을까 싶다. 그렇다 해도 실시간 지식대화 서비스 자체에는 광고.. 2009. 12. 29. 티스토리의 특이한 인증 방식 티스토리에 접속했다가 과연 티스토리의 보안을 믿어도 좋을지 조금 걱정스러워졌다. 한메일 사용자라 한메일 ID로 티스토리에 로그 인 하려는데 며칠 전에 바꾼 한메일 계정 암호가 아닌 변경 전의 암호로 접속해야 했던 것이다. 그러니까 티스토리에 한메일 계정으로 인증할 때마다 한메일(다음) 서버로 인증 정보를 송수신하지 않고 한메일 서버에서 티스토리로 복사해 온 암호 정보를 통해 인증하는 모양인데 어련히 알아서 잘 했겠지만 이런 서비스 간 암호 복사 방식(?)은 처음 접하는지라 괜스레 걱정이 됐다. 복사를 한다 해도 암호의 문자열이 알려지지 않은 어휘가 아니라면 별 문제가 없을 것이다. 아울러 한메일 계정이 아니라 티스토리 자체 계정으로 접속하는 사용자는 신경 쓸 필요가 없는 사안이기도 하다. 2009. 5. 10. 이전 1 다음 반응형